애드테크 AdTech

DSP 수요 측 플랫폼

디지털농담곰 2023. 11. 29. 08:30

DSP (Demand Side Platform), 수요 측 플랫폼이란? 

 

DSP는 Demand Side Platform의 약어로 수요 측 플랫폼이라는 뜻입니다. 광고주나 광고 대행사가 디지털 광고 인벤토리를 구매하고 광고 캠페인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랫폼을 가리킵니다. DSP를 통해서 더 빠르고 정확하게 광고주가 원하는 유저들을 트랙킹 하여 광고를 적절한시간과 공간 즉 지면에 노출시켜 수익화를 도와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DSP의 주요 기능으로는 타겟팅, 실시간 입찰, 그리고 데이터 분석이 있습니다. 광고주의 목표에 따라 특정 오디언스를 타겟팅하고, 여러 광고 인벤토리에서 광고주를 대신해 실시간으로 입찰을 진행하여 광고를 효율적으로 구매합니다.

 

 

기능과 역할

 

DSP는 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과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 광고 인벤토리 구매: DSP는 다양한 디지털 광고 인벤토리를 탐색하여 광고주의 목표에 부합하는 인벤토리를 실시간으로 입찰하여 구매합니다. 이를 통해 광고주는 원하는 광고를 특정 대상에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실시간 입찰 (RTB): DSP는 광고 인벤토리에 대한 실시간 입찰을 지원합니다. 광고주는 여러 광고 인벤토리에 대해 실시간으로 입찰을 하고, 경매에서 최고 입찰가를 제시한 광고가 노출되는 방식으로 광고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 타겟팅 및 세그먼테이션: DSP는 사용자 그룹을 세분화하고 특정 조건에 맞추어 광고를 노출시킬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더 정확하고 빠른 유저 타겟팅이 가능하여 브랜드 성장에 큰 도움을 줍니다.
  • 광고 캠페인 관리: DSP는 광고주가 여러 광고 캠페인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광고 예산, 노출 빈도, 타겟팅 설정 등을 조절하며 캠페인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실적 분석과 보고서: DSP는 광고 성과를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리포팅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광고주는 광고 캠페인의 성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DSP로 내보낼수 있는 광고 종류

 

DSP(Demand Side Platform)를 통해 내보낼 수 있는 광고는 다양하며, 웹사이트, 앱, 팟캐스트, 커넥티드 TV(CTV), OTT 플랫폼 등이 있습니다. 

 

1. 웹사이트 광고

  • 광고 형식: 디스플레이 광고, 네이티브 광고, 비디오 광고 (예시: 뉴스 사이트, 블로그, 온라인 포털 등)
  • 활용 사례: 사용자의 관심사, 행동 패턴 등을 기반으로 타겟팅된 디스플레이 광고를 웹사이트에 노출

 

2. 앱 광고

  • 광고 형식: 인앱 디스플레이 광고, 인앱 비디오 광고, 인앱 광고 배너 (예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에서의 광고. Static 광고, Dynamic 광고, Native 광고 등)
  • 활용 사례: 모바일 앱 리타겟팅, UA

 

3. 팟캐스트 광고

  • 광고 형식: 오디오 광고, 스폰서십, 중단 광고 (예시: 팟캐스트 플랫폼에서 에피소드 내에서 들리는 광고)
  • 활용 사례: 타겟 오디언스에게 관련성 높은 광고를 오디오 형태로 제공

 

4. 커넥티드 TV (CTV) 및 OTT 플랫폼 광고

  • 광고 형식: 비디오 광고, 인터액티브 광고 (예시: 스마트 TV, OTT 서비스 (Netflix, Hulu 등)
  • 활용 사례: 가정 내에서 TV 화면을 통해 타겟팅된 비디오 광고를 제공

 

 

이러한 광고 형식들은 DSP를 통해 광고주들이 특정 광고 캠페인을 웹사이트, 앱, 팟캐스트, CTV, OTT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에서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각 플랫폼은 사용자 경험과 상황에 맞게 광고를 제공하고, DSP는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럼 왜 DSP가 중요할까요? 

 

앞서 언급한바와 같이 DSP를 통해 타겟팅 하고자 하는 유저에게 광고주의 광고를 적절한 지면에 노출 시킴으로써 유저를 원하는 광고주의 모바일 앱이나 웹으로 복귀를 시켜 수익화가 가능해집니다. 크게는 아래와 같이 유저를 복귀 시켜 광고주의 브랜드를 다시 한번 경험하게 함으로써 유저의 Loyalty를 향상시킵니다. 또는 UA 방법으로 기존 유저가 아닌 새로운 유저 타켓팅 또한 가능합니다. 

 

  • Increased Engagement 
  • User Retention 
  • Improved User Lifetime Value 

 

 

DSP 와 SSP 관계

 

https://www.tappx.com/blog/best-ssp-for-publishers-requirements-supply-side-platform

 

DSP를 활용한 디지털 광고에 대해서 이해하려면 SSP에 대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Supply Side Platform (SSP) 즉 공급 측 플랫폼은 주로 퍼블리셔(게시자 또는 광고 인벤토리를 소유한 주체)를 대신하여 광고 지면을 효과적으로 판매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광고 지면은 웹사이트, 앱, 비디오 스트리밍 플랫폼 등에서 광고가 표시되는 디지털 공간을 의미합니다. SSP는 다양한 광고주와 광고 네트워크에서 오는 광고 수요를 조절하고, 광고 인벤토리의 가치를 최대한 높이는데 집중하며, 광고 플레이스먼트(광고 표시 위치), 광고 수익 최적화, 광고 주문 관리 등의 주요 업무를 담당합니다.

 

즉, DSP와 SSP는 광고 거래에서 중개자 역할을 합니다. DSP는 광고주를 대표하여 SSP의 광고 인벤토리에 입찰하고 광고를 구매하며, SSP는 퍼블리셔를 대표하여 광고 인벤토리를 유치하고 DSP의 입찰을 받아 광고를 판매합니다. 이를 통해 광고주는 효과적으로 광고를 노출하고 퍼블리셔는 광고 인벤토리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판매/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입찰 및 노출 과정에서는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교환되어 광고 캠페인이 최적화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됩니다.

 

 

다음 콘텐츠에서는 SSP에 대해서 더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애드테크 Ad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P 모바일 측정 파트너  (1) 2023.12.03
프로그래매틱 광고  (0) 2023.12.02
Ad Exchange 광고 거래소  (0) 2023.12.01
SSP 공급 측 플랫폼  (0) 2023.11.30
AdTech 광고기술  (0) 2023.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