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테크 AdTech

Ad Creatives 광고 소재 종류

디지털농담곰 2023. 12. 7. 00:00

 

 

프로그래매틱 광고 방식을 활용하여 여러 종류의 모바일 앱 광고 형태를 내보낼 수가 있는데요, 각각의 광고 형태의 특징과 장단점을 숙지하여 캠페인을 진행해야 더 효율적인 퍼포먼스가 가능합니다. 현시점에 IDFA 활용에 제약이 생겨 캠페인 성격에 따른 적절한 광고 소재(Ad Creative)를 만들거나 애플의 SKAN에서 요구하는 스토어킷(Store Kit)인 Store Page pop-up과 SK Overlay 등의 광고 형태를 적절히 잘 사용하는 것이 높은 캠페인 퍼포먼스에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

 

 

모바일 광고 종류: 

 

  1. 네이티브 광고 (Native Advertising): 이티브 광고는 플랫폼의 콘텐츠와 완벽하게 조화되도록 디자인된 광고 형식입니다. 광고가 자연스럽게 플랫폼에 통합되어 유저 경험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더 높은 유저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는 기사, 소셜 미디어 피드, 앱의 플로우와 유사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2. 배너 광고 (Banner Advertising): 배너 광고는 웹페이지나 앱 상단, 하단, 사이드 등에 작은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광고 영역을 표시하는 형태입니다. 클릭 시 특정 웹사이트나 페이지 또는 앱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됩니다.
  3. 전면 광고 (인터스티셜, Interstitial Advertising): 전면 광고는 앱이나 웹사이트의 내용을 가리고 전체 화면에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는 형태입니다. 유저가 앱의 다음 화면으로 이동하기 전에 나타나는데, 주로 게임 앱에서 레벨 전환이나 앱 내 탐색 중간에 표시됩니다.
  4. 오퍼월 광고 (Offerwall Advertising): 오퍼월 광고는 앱 내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광고를 시청하는 등의 활동을 통해 유저에게 가상 보상이나 혜택을 제공하는 형태의 광고입니다. 유저들은 이러한 오퍼월을 통해 게임 내 아이템, 할인 쿠폰 등을 얻을 수 있습니다.
  5. 보상형 동영상 광고 (Rewarded Video Advertising): 보상형 동영상 광고는 유저가 광고를 시청하는 대신 가상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형태의 광고입니다. 주로 앱 내에서 게임에서 추가 생명, 게임 화폐, 특별 아이템 등의 보상을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6. 플레이어블 광고 (Playable Advertising): 플레이어블 광고는 광고 콘텐츠가 유저에게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게임 또는 체험의 형태로 제공되는 광고입니다. 유저는 직접 광고 콘텐츠를 체험하면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광고의 형태는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캠페인 집행 전 각 광고의 특징 파악은 필수적입니다. 더불어 광고 형태의 선택뿐만 아니라 광고를 제작할 때 들어가는 디자인과 문구 등도 타겟팅하는 유저 그룹에 맞게 제작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광고주의 브랜드 이미지는 잘 나타날 수 있고 유저의 눈을 끄는 디자인과 문구로 캠페인 퍼포먼스를 높일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광고 캠페인을 위한 몇 가지 고려 사항:

 

  • 목표 설정: 목표를 정확히 이해하고 설정합니다. 광고의 목적은 브랜드 인지도 증가, 판매 촉진, 앱 다운로드 증가 등 다양할 수 있습니다. 목표에 따라 적절한 광고 소재를 선택합니다.
  • 타겟 오디언스 파악: 광고를 어떤 타겟 오디언스에게 전달할지를 정확히 파악합니다. 각 광고 소재는 특정 타겟 오디언스에게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채널 선택: 광고를 게재할 채널을 선택합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구글, 트위터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이 있으며, 각 플랫폼에는 특정한 광고 소재가 더 잘 어울릴 수 있습니다.
  • 광고 형식 고려: 캠페인 목표와 타겟 오디언스에 맞는 광고 형식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제품을 보여주고 싶다면 디스플레이 광고나 인스타그램 스토리 광고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미디어 형식 고려: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미디어 형식을 고려합니다. 광고 콘텐츠의 형식은 목표와 타겟 오디언스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 테스트와 최적화: 여러 광고 소재를 테스트하여 어떤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 확인합니다. A/B 테스트를 통해 광고 콘텐츠의 성과를 비교하고, 이를 기반으로 캠페인을 최적화합니다.
  • 분석과 데이터 활용: 광고 캠페인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데이터를 활용합니다. 클릭률, 전환율, 소비자 피드백 등의 지표를 살펴보며 향후 전략을 개선합니다.
  • 광고 예산 관리: 사용 가능한 광고 예산에 따라 효과적인 광고 소재와 캠페인 전략을 선정합니다. 예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계획합니다.

 

이러한 몇 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각 광고 소재의 특징과 장단점을 고려하여,

목표와 타겟 유저에 맞는 최적의 조합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광고 소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애드테크 Ad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마케팅 성과 지표 용어 정리  (0) 2023.12.06
SKAN (Store Kit Ad Network)  (0) 2023.12.05
IDFA 광고 추적 식별자  (0) 2023.12.04
MMP 모바일 측정 파트너  (1) 2023.12.03
프로그래매틱 광고  (0) 2023.12.02